본문 바로가기
리뷰

국가부도의 날 시간적 배경, 줄거리, 총평

by 그작남 2024. 2. 17.
반응형

국가부도의 날 영화 포스터

1. 시간적 배경

  이 영화를 보기에 앞서, 1997년 외환 위기를 이해하면 더 재미있게 관람할 수 있어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흔히, 대한민국 국민에게는 'IMF 사태'로 기억되고 있지만, IMF의 구제금융을 받으며 경제 구조를 재편하는 과정에서 IMF로 더 많이 기억되고 있습니다. 
  우선 90년대 초까지 외환 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급격한 경제성장과 외국인 투자의 증가로 인해 외환 부족이 발생하였습니다. 외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외환 차입을 진행하였지만, 달러 유출 속도가 수익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외화 부족을 더 가속하게 됩니다. 결국 외화의 유입을 위해 금리를 인상하였지만, 이에 따라 기업의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지고, 경기침체와 기업이 파산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소들로 1997년 외환 위기가 발생하였고, 대한민국 경제 및 국민에 큰 타격을 주게 됩니다. 결국 기업들의 부채상환 능력은 금융 시스템이 붕괴하며, 국제 금융 기관들의 지원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합니다. 
  여기에서 나오는 국제 금융 기관이 IMF이며, 대한민국 정부는 IMF와 협상을 통해 금융 구제 패키지를 도입하게 됩니다. 협상 조건은 대한민국 금육 시스템 개혁과 기업의 과감한 구조조정 등의 정책을 이행하는 조건이었습니다. 이후 한국 경제구조는 큰 고통의 기간을 인내하며, 금융 안정성을 강화해 왔고, 결과적으로 지금은 아시아에서 탄탄한 경제 기반과 외화 보유를 안정성 있게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이 영화에서는 크게 3가지 부류로 나누어서 인물들의 심리 묘사를 보시면 더욱더 재미가 있을 것입니다. 정부의 무능한 관료와 대립하여 국가가 생존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려고 고군분투하는 한시현 (김혜수), 그리고 이런 정부의 무능함에 베팅하여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아 나서는 윤정학 (유아인), 그리고 한시현의 오빠이자 중소기업을 운영하며 착실하게 살아가는 한갑수 (허준호)의 상황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관람하시면서, 본인의 상황은 어느 쪽이었을지, 그리고 내가 타임머신을 타고 돌아가서 저 상황에 놓여졌을 때, 나라는 개인은 어떠한 선택을 하실지 생각해보시면 좀 더 의미있는 영화가 될 것입니다.

2. 줄거리

  1997년 11월, 미국 월가에서는 '모든 미국 투자자들은 즉시 한국을 탈출하라'라는 메시지가 컴퓨터를 통해 비추며 시작된다. 한국은행 총장실에선, 한시현 (김혜수) 팀장이 작성한 보고서를 보면서, 통화정책팀을 소집한다. 
  한편, 윤정학 (유아인)은 고려종합금융에 근무하면서, 한국의 실물경제가 비관적인 이웃 사연들을 들으면서, 작은 투자회사를 차리기 위해 퇴사한다. 고객들을 불러 모아 한국 경제가 망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며 자신에게 투자할 사람들을 모으기 시작한다. 
  한시현과 한국은행 총장은 경제부 수석을 만나 심각성을 논의하고, 재정국 차관과 금융실장 앞에서 브리핑한다. 하지만, 재정국 차관은 국가 부도가 날 수 있는 상황에서도 대수롭지 않다는 듯이 가볍게 생각하는 무능한 관료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국가적 위기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윤정학은 미친 듯이 오르는 환율을 수익으로 전환하기 위해, 한화를 죄다 달러로 환전하기 시작한다.

3. 총평

  1997년은 대한민국 경제 전반의 급격한 변동으로 부동산 시장도 붕괴하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를 "1997년 한국 부동산 거품 붕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너무 힘든 생활고와 중소기업들의 폐업은 집을 가진 서민들에까지 손해를 끼쳤습니다. 실제로, 매도를 위해 부동산 매물로 놓은 집을 방문하였을 때, 집주인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모습을 보게 되는 일도 있어, 많은 사람의 마음을 아프게 했습니다. 
  이러한 부동산과 경기침체로 시장 안정화를 위해 김대중 정부에서는 다양한 정책들을 내놓았습니다. 대한민국에서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서, 단기간에 가장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는 부분이 건설 경기를 강화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김대중 정부 시절,  2000년대 초반까지 대한민국의 부동산 부흥을 일으켜 경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까지 했었다. 

  영화를 보면서 마지막의 모라토리엄을 외치던 한시현의 주장에서는 흥이 조금 깨지기도 하였다. 모라토리엄은 채무지불 유예를 선언하는 것으로서 돈을 안 갚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은 수출입으로 경제가 유지 및 성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모라토리엄 선언이 IMF 기구와의 협의에서는 조건을 유리하게 만들지 몰라도, 결국 국가 간 신뢰 문제에서 회복이 어려워 내수 경기에만 의존하는 악수를 둘 수도 있게 된다. 이런 내용들은 자칫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IMF에 돈을 빌리는 행위 자체에 대해서 잘못된 판단으로 비춰질 수 있어,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었다. 

  그래도 1997년 대한민국을 경험해 보지 못한 세대들에게는 대한민국의 아픈 역사 공부의 의미로 좋았고, IMF 세대들에게는 힘든 시기를 겪은 아픔을 효과적으로 호소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끝-

반응형